VAST (Video Ad Serving Template)란?

VAST는 비디오 플레이어에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태그들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비디오 광고 표준규격을 의미합니다. XML 스키마를 사용하는 VAST는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에 대한 주요 메타데이터를 비디오 플레이어로 전달합니다. 더불어 IAB의 VPAID(Video Player-Ad Interface Definition)는 비디오 광고와 비디오 플레이어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하는 표준이며, 이 VPAID를 통해 VAST는 프로그래매틱 광고 혹은 인터랙티브 광고를 전달합니다.

비디오 광고 표준 (VAST) 1.0, VPAID와 같이 잘 만들어진 기술 규정과 프로토콜은  비디오 산업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간 온라인 광고 업계의 표준은 많은 성장을 거두었고 새로운 트렌드와 기술 지원에 있어서도 크게 발전했습니다. 특히 VAST 4.0은 비디오 광고를 개선하고 최종 소비자에게 좀 더 향상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업계의 모든 구성원들이 합심해 이루어 낸 결실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브라이트코브와 비디오 광고 플랫폼 스팟엑스(SpotX)가 함께 한 VAST 4.0 표준 테스트 결과 개선된 비디오 광고 기술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VAST 4.0의 새로운 기능들은 최종 소비자의 광고 시청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광고 렌더링 과정에서 불 필요한 기능들을 제거하고 페이지 로딩 시간 또한 줄여줍니다.

VAST 4.0의 새로운 기능들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십시오.



  • 조건부 광고 (Conditional ad)
  • 메자닌(mezzanine) 파일 지원 (일명 서버 사이드 스티칭)
  • 인터랙티브 요소 파일과 비디오 파일의 분리
  • 광고 인증 및 가시성 제공

조건부 광고(Conditional Ads)

이용자의 검색경로, 검색어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이용자가 가장 필요로 하는 광고를 띄워주는 프로그래머틱 광고에서 VPAID는 때때로 광고를 어디에 배치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만약 이런 "Conditional ad"가 어떠한 광고도 시청자에게 보여주지 못한다면, 콘텐츠 게시자는 광고가 시청자에게 노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수익을 가져와야할 수도 있습니다. Conditional Ad에 대한 VAST 발표는 콘텐츠 게시자들이 프로그래머틱 광고 전송에 있어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익을 가져가는 경우를 막고 이를 다시 되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VAST 4.0에서는 VPAID 콘테이너가 광고를 표시하지 못할 때 (블랙 스크린으로 표시될 경우), 광고에 “conditional” 플래그를 추가해 콘텐츠 게시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서버 사이드 스티칭 및 메자닌 파일

VAST는 고화질의 서버사이드 광고 삽입(Server Side Ad Insertion) 및 스티칭광고를 위한 메자닌 화질의 비디오를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VAST 4.0에서 메자닌 파일 지원 기능을 추가하며 이 문제를 간단히 해결했습니다. VAST 4.0은 고화질 및 길이가 긴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한 모든 비디오 플랫폼에 광고를 전송하기 위해 원본 및 고화질의 메자닌 파일을 지원합니다. 메자닌 파일은 크기가 커 광고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될 수는 없지만, 광고 스티칭 서비스와 다른 광고 벤더는 메자닌 파일을 활용해 시청환경에 맞는 적절한 화질의 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즉, 이 업데이트를 통해 콘텐츠 게시자들은 비디오 스트림을 고화질로 렌더링할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콘텐츠와 광고 모두를 끊기지 않게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터랙티브 요소 파일과 비디오 파일의 분리

서버사이드 광고 삽입(SSAI)과 마찬가지로 VAST 4.0은 광고 하나하나에 각각의 “Interactive Creative File node”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광고주들이 스티치 된 광고 비디오 스트림에까지 인터랙티브 요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VPAID는 그 자체만으로 인터랙티브 광고를 지원합니다. 이는 콘텐츠 게시자에게는 소비자에게 끊김없는 광고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광고주에게는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눈으로 볼 수 있게 지원하기 때문에 게시자 및 광고주 모두를 만족시킵니다.

광고 인증 및 가시성 제공

광고주들은 원하는 자리에서 광고할 수 있기를 지속적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런 광고주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위해 VAST 4.0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광고 재생 상세정보를 인증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해 콘테이너 배치를 계산할 수 있는 Ad Verifications 요소를 추가 했습니다. 원칙적으로 콘텐츠 게시자들은 의도하는 대로 인증 논리가 광고 재생을 추적할 수 있도록 광고 재생 전에 이 논리를 검토합니다. 이 기능은 “신뢰하되 검증하라”는 말을 충실히 따르고 있고, 광고주에게는 각 광고 위치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합니다.

출처:https://www.brightcove.com/ko/blog/2016/02/%EB%AF%B8%EA%B5%AD-%EC%9D%B8%ED%84%B0%EB%84%B7-%EA%B4%91%EA%B3%A0%ED%98%91%ED%9A%8Ciab-%EC%83%88%EB%A1%9C%EC%9A%B4-%EB%B9%84%EB%94%94%EC%98%A4-%EA%B4%91%EA%B3%A0-%ED%91%9C%EC%A4%80-vast-40-%EB%B0%9C%ED%91%9C

반응형

모바일  및 온라인 광고 관련 용어인데... 관련 개발을 하기위해선 일단 알아둬야 하는 지식이니까... 여기에 남겨둬야겠다. 이 또한 지식이니까 ㅎㅎ 


1. AD Network

다수의 광고미디어(퍼블리셔)를 네트워크로 묶어 광고주에게 RON(Run of Network)으로 판매하는 업체를 말합니다.  

AD network 서비스는 광고전송, 오디언스 타게팅, 리포팅 등의 기능을 갖춘 AD서버를 필요로 합니다. 

AD network를 가진 대표 사업자로는 메조미디어의 모바일 광고 네트워크 MAN과 구글 GDN, 다음 DDN, 모바일 분야에서는 다음 아담 등이 있습니다.

 

2. AD Exchange 

수많은 AD Network이 등장하다보니, 시장은 이 네트워크들을 모아줄 플랫폼을 필요로 하게 되었습니다.  

이 플랫폼이 AD network들의 거래 시장인 AD Exchange 입니다.  

개별 네트워크 안에서만 광고 거래가 가능했던 AD network와 달리,   AD Exchange는 네트워크 간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여 전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원활하게 합니다.  

그리고 거래의 효율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RTB(Real time bidding)가 도입되었습니다.

AD Exchange를 운영하는 곳은 구글 AD-X(double click), 야후 RightMedia, OpenX, appnexus 등이 있습니다.

 

3. DSP(Demand side Platform) 

AD Exchange의 등장으로 시장에서는 손쉽게 다양한 미디어와 오디언스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구매할 수 있는 광고미디어가 많아짐으로 인해 광고주는 그만큼 옥석을 가려내기가 어려워졌습니다.  

광고주가 효과적으로 광고 미디어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장한 플랫폼이 바로 DSP(Demand side Platform)입니다.  

DSP는 미디어와 오디언스 정보를 분석하여 광고주의 캠페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자동화된 방식으로 구매를 진행합니다.

DSP 사업자로는 Turn, MediaMath, TheTradeDesk, DataXu 등이 있으며 이 중 TheTradeDesk는 메조미디어와 업무 제휴를 맺었습니다.

 

4. DMP(Data management platform)

DSP가 효과적인 구매를 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와 오디언스의 데이터에 대한 즉각적인 분석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DMP는 이러한 데이터 분석을 위해 정보를 쌓고 관리하는 플랫폼입니다.  

DSP 자체적으로 DMP를 보유하여 정보를 분석하는 경우와 3rd party 데이터 업체를 통해 정보를 확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5. 최적화(Optimization)

DSP에서 광고주의 캠페인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 조건들을 지속적으로 조정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최적화(Optimization)라고 하며 입찰가 최적화, 미디어 최적화, 타게팅 최적화, 광고소재 최적화 등   DSP사 별로 각자의 노하우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6. SSP(Supply side platform) 

광고미디어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수익 극대화 입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등장한 플랫폼이 SSP(Supply side platform) 입니다.  

AD Exchange로 인해 광고판매 경로가 다양해진 환경에서 SSP는 광고미디어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네트워크나 DSP로부터 가장 수익성 높은 경로에 광고를 판매를 합니다.

대표적인 SSP 사업자는 Rubicon, Pubmatic가 있습니다.


출처 : Mezzomedia    

출처: http://superkong85.tistory.com/8 [SuperKong]

반응형

'광고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Science] RTB(Real Time Bidding) System이란?  (0) 2018.01.04
VAST 란??  (1) 2018.01.03

요번엔 Elasticsearch 초간단 실행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알아보기 전에, Elasticsearch가 뭔지에 설명을 하고 넘어가자. 

Elasticsearch 는 분산형 RESTful 검색 및 분석 엔진이다. (홈페이지에도 이렇게 설명을 하고 있다...)

처음엔 데이터 검색엔진이라고 생각했지만,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다. 

시각화 기능은 Kibana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은 추후에 진행해보자.


그럼 이제, Elasticsearch 설치부터 알아보자.

참고로, 설치 환경은 Linux 환경 (Ubuntu 16.04) 이다. 


우선 설치 파일은 https://www.elastic.co/kr/downloads/elasticsearch 에서 받을 수 있다.

글 작성시의 최신 버전은 5.5.1이다.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tar 파일을 받아서 설치할 경로에 저장을 한다.

명령어로 받으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wget https://artifacts.elastic.co/downloads/elasticsearch/elasticsearch-5.5.1.tar.gz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tar 파일로 압축을 해제 한다.


tar zxvf elasticsearch-5.5.1.tar.gz 


압축해제를 하고나면, 파일명과 같은 폴더가 생기고, 파일 목록은 아래와 같다.


$~/elasticsearch/elasticsearch-5.5.1$ ls

LICENSE.txt  NOTICE.txt  README.textile  bin  config  data  lib  logs  modules  plugins


bin 폴더에 가서 elasticsearch 를 실행하면 되는데, 

전에 config 폴더에 elasticsearch.yml 파일을 열어서 몇가지 설정만 해놓자.


먼저, 아래 글과 같이 path.logs에 경로를 지정한다. 이름과 같이 로그 파일 저장경로이다.


...

# ----------------------------------- Paths ------------------------------------

#

# Path to directory where to store the data (separate multiple locations by comma):

#

#path.data: /path/to/data

#

# Path to log files:

#

path.logs: /home/austinlee/elasticsearch/elasticsearch-5.5.1/logs

...


다음으로는, IP 설정이다. elasticsearch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한다. 

일단, 내부적으로 테스트 하는 것이므로 Localhost인 127.0.0.1로 한다.


...

# ---------------------------------- Network -----------------------------------

#

# Set the bind address to a specific IP (IPv4 or IPv6):

#

network.host: 127.0.0.1

#

# Set a custom port for HTTP:

#

#http.port: 9200

#

# For more information, consult the network module documentation.

...


이렇게 설정하고 나서, bin 폴더에 있는 elasticsearch를 실행한다.


./bin/elasticsearch


데몬으로 실행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된다.


./bin/elasticsearch -d


데몬으로 실행했을 경우, 종료는 해당 pid 를 찾아서  kill 을 하면 된다.


# pid 찾기 

ps -ef | grep elasticsearch 


# 찾은 pid 로 프로세스 죽이기

kill 'pid'


elasticsearch 서버를 실행하고 나서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는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확인한다.

주소 창에 http://localhost:9200/를 입력하고 접속을 한다. (localhost는 위에서 설정한 IP 주소, 접속  Default 포트는 9200이다.)


{
  "name" : "OR5RLR1",
  "cluster_name" : "elasticsearch",
  "cluster_uuid" : "Fe_tQmzOT8OVj-K1C7VQYA",
  "version" : {
    "number" : "5.5.1",
    "build_hash" : "19c13d0",
    "build_date" : "2017-07-18T20:44:24.823Z",
    "build_snapshot" : false,
    "lucene_version" : "6.6.0"
  },
  "tagline" : "You Know, for Search"
}

정상 동작이면 위와 같은 정보가 나온다.


이렇게 초간단 실행법은 끝!

이제 REST API 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면 된다. 이에 대한 것은 다음에....






반응형

+ Recent posts